본문 바로가기
토질및기초 공부/흙의 성질

흙의 정의와 특성

by 지반설계 기록자 2021. 3. 4.

 

1. 정의

흙 입자 자체는 고체이지만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며, 외력을 받았을 때 입자 상호간의 변위가 쉽게 일어나는 불연속체이다. 불연속체인 흙 입자 사이에는 공기와 물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흙은 본질적으로 삼상(흙, 공기, 물)이다.

 

2. 흙의 특성

1) 흙의 응력-변형 거동은 탄성을 보이지 않는다.

흙의 응력-거동 관계

    - 견고한 흙 : 작은 변형률에서 최대강도에 이르러 갑작스럽게 파쇄되어 버린다.

    - 연약한 흙 : 변형이 상당히 크게 일어나도 강도를 거의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어떤 흙이든 응력-변형 거동은 탄성을 보이지 않으나 각 곡선의 처음 부분은 거의 직선에 가까우므로 변형계수를 구해 흙의 탄성적인 거동을 추정한다.

 

2) 흙의 성질은 본질적으로 비균질 비등방성이다.

흙은 사방의 어떠한 곳도 공학적 성질이 다르다.

 

3) 흙의 거동은 응력에 의존할 뿐만아니라 시간(압밀)과 환경(온도, 함수비)에도 의존한다.

 

4) 지반의 구성과 공학적 성질은 시추를 통해서 자세히 판명된다.

시추를 통해 얻은 시료로 지반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설계와 해석에 사용되는 여러 정수를 결정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