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질및기초 공부/사면안정4 락볼트 천공경 결정하기 비탈면 보강 설계를 하다 보면 자신이 선택한 보강재에 대한 기본 물성치를 입력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내역서 단가 산출에서도 설계에 적용한 값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오늘은 락볼트의 천공 경이 설계 중 어디에 이용이 되는지와 어떻게 결정하면 좋을지 같이 생각해 보겠습니다. 안정 해석 시 적용되는 락볼트 천공경 안정 해석 단계에서 락볼트 천공경은 등가 반경 혹은, 천공 경이라는 이름으로 적용이 되고 인발 저항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쉽게 말해 락볼트를 설치하는 과정을 상상하면 좋습니다. 보강 위치에 천공을 통해 긴 원기둥 모양의 구멍을 뚫고 그 안에 보강 철근을 삽입합니다. 그리고 그라우팅으로 철근 표면에 콘크리트 구근이 형성합니다. 즉 이 콘크리트 구근과 원지반과의 마찰력으로 인.. 2022. 7. 29. 영구앵커 정착하중(Jacking Force) 산정 영구앵커를 설계하면 설계하중을 적용하여 안정성 검토를 수행하죠.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설계하중으로 앵커를 설치한다면 여러가지 에너지 손실로 계획했던 만큼 보강력이 나오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앵커의 구조계산을 통해 정착하중이란 것을 별도로 표기합니다. 즉, 손실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여 그만큼 더 인장시키는 개념인데요. 영구앵커 정착하중(Jacking Force) 산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착하중(Jacking Force)의 산정 Prestress 감소(두 가지 손실) 정착장치에 의한 P.S의 감소(= E(강선의 탄성계수) × δL(세트량) × A(강선의 단면적) / 앵커체의 자유장) 여기서, 세트량은 앵커를 정착할 때 인장재와 정착장치 사이의 미끄러짐(활동)으로 인한 인장재의 되돌림량을 말하며, 앵커.. 2021. 3. 5. 토석류(Debris flow) 발췌 토석류(Debris flow) 정의 물을 많이 함유한 대량의 토사(암괴도 포함)가 급격히 계곡을 따라 흘러 내리는 것. 태풍 및 국지적 집중호우에 의하여 암괴, 세립토 등의 퇴적물이 과포화되어 유동성을 띠고 사면에서 흘러내리는 현상을 말하며, 유하속도는 일반적으로 5~20m/s로서 극히 빠르고 하류에 있는 마을에 큰 재해를 주는 경우가 많다. 발췌 토석류(Debris flow) 현상 토석류는 집중호우 등에 산사태가 일어나 토사, 암석, 또는 유목을 포함한 유수가 계곡을 따라 흘러 내려가는 현상을 말하며, 다량의 토사가 계곡 수로를 통해 흘러내리는 수로현 토석류와 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사면형 토석류로 구분된다. 국내에서 토석류는 .. 2021. 1. 7. 암파쇄 방호시설 설치지침 암파쇄 방호시설 적용이 필요한 현장은 어떤 곳일까요? 도로에 인접한 암반 비탈면에 암발파가 이뤄지는 경우나 비탈면 시공 중 절토로 인한 낙석이 예상되는 곳에 적용이 됩니다. 암파쇄 방호시설은 일반적으로 말뚝을 설치하고 그 사이에 강재로 된 판을 끼워 굴러 떨어지는 낙석의 충격을 버티게 하고, 말뚝의 깊이를 깊게 할수록 저항력이 높습니다. 암파쇄 방호시설 설치지침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1. 총 칙 1.1 목적 국가의 경제활동과 국민생활의 원동력인 도로는 과거의 예상보다 빠른 차량의 증가와 노후화로 인하여 부속시설의 개선 및 개량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막대한 국가예산을 투자하여 선형개량 및 위험요소 제거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로시설의 주요 개량 범위로는 절토사면의 안정화를 위한 작업.. 2021. 1. 6. 이전 1 다음 반응형